[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걸으며 만나는 도시의 기억, 인천 도시재생 스탬프 투어를 가다
한때 쇠락했던 항구의 거리가 활기를 되찾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도시재생 스탬프 투어'의 무대가 된 인천 중구다.
추석 연휴를 맞아 근대와 현대가 공존하는 인천 중구의 도시재생 현장을 걸었다.
개항기의 역사와 생활 문화가 맞닿은 거리마다 복원과 재생이 이뤄지고 있었고, 낡은 공간이 새 숨결을 얻고 있었다.
첫 번째로 찾은 곳은 근대생활사전시관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호텔인 대불호텔의 모습을 재현한 '대불호텔전시관'(1관)과 1960~70년대 인천 중구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구생활사전시관'(2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전시관은 1978년 철거된 대불호텔 자리에 40년 만인 2018년 4월 '중구생활사전시관'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개관했다.
1층에는 대불호텔의 변천사가 정리되어 있고, 2층에는 당시 객실이 재현되어 있었다.
과거의 유구 위에 새 건물이 세워졌다는 점에서 단순한 복원이 아닌 도시재생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었다.
2관인 중구생활사전시관은 1960~70년대 인천 중구 주민의 일상생활을 재현한 공간이다.
다방, 이발소, 전파상 같은 옛 점포들이 생생하게 재현되어 있었다.
근대문화유산을 단순히 보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민의 생활사를 전시로 되살렸다는 점에서 도시재생의 본질을 느낄 수 있었다.
다음으로 방문한 곳은 이음 1977이었다.
이곳은 근대건축문화자산 재생사업 1호로, 인천도시공사가 근대건축물의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매입·리모델링한 대표적 사례이다.
세창양행 간부였던 헤르만 헨켈의 주택 터 위에 건축가 김수근의 설계로 1977년에 지어진 단독주택을 시민 문화공간으로 되살렸다.
2년 전에도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홍콩과 인천, 길 위에서 만나다'라는 사진전이 열리고 있었다.
같은 공간이지만, 그때보다 훨씬 활기차고 열린 느낌이었다.
낡은 주택이 시민이 찾는 문화공간으로 바뀐 모습은 도시재생의 의미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세 번째로 들른 상상플랫폼은 과거 아시아 최대 규모의 곡물창고였다.
1883년 개항 이후 인천은 세계와 조선을 잇는 관문이었다.
상상플랫폼은 당시의 창고 구조를 그대로 보존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문화와 예술을 공급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방문한 날에는 베이비페어가 열리고 있었는데, 어린아이를 데리고 온 가족 단위 방문객들로 북적였다.
과거 곡물을 저장하던 공간이 이제는 문화를 나누는 장이 된 것이다.
☞ (하이블루카본 관련 기사) 숲보다 50배 빠르게 탄소를 흡수하는 '숨은 영웅'
4번째 마시안마을은 어촌계가 중심이 되어 갯벌 체험, 맨손 고기잡이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갯벌 생태 체험장이다.
주민이 중심이 되어 지역 자원을 활용하고 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한다는 점에서 도시재생과 맥을 같이한다.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지역의 생태와 공동체가 함께 살아가는 공간이었다.
스탬프 투어 앱을 사용해 보니 인천 도시재생 현장뿐 아니라 한국관광공사에서 운영하는 '취향따라 걷는 평화의 길', '안보관광 스탬프 투어'도 함께 참여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인천 개항장은 도시재생 스탬프투어와 안보관광 스탬프 투어의 공통 지역이었다.
한 공간 안에서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재생, 그리고 평화의 의미가 함께 이어지고 있었다.
이와 함께 개항장 일대의 또 다른 재생 공간인 인천 우체국도 다시 찾아가 보았다.
2년 전 방문 당시에는 2025년 10월 전면 개방을 목표로 보수공사가 진행 중이었지만, 아직 공사는 완료되지 않은 상태였다.
개방 시기는 미정이지만, 향후 이곳이 인천 원도심의 또 다른 도시재생 거점으로 완성되어 시민들에게 개방되기를 기대한다.
이번 인천 도시재생 스탬프 투어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하나의 여정으로 잇는 체험이었다.
오래된 공간이 단절되지 않고 새로운 기능과 의미를 얻는 과정은 도시재생 정책의 방향을 잘 보여준다.
앞으로도 이러한 도시재생이 지역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국민이 일상 속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951427&pWise=sub&pWiseSub=C3
#도시지역혁신 #도시지역혁신산업박람회 #2025도시지역혁신 #2025도시지역혁신산업박람회 #도시혁신 #지역혁신 #도시산업박람회 #대한민국도시박람회 #2025도시박람회 #대한민국도시산업박람회 #삼척도시박람회 #삼척박람회 #삼척정라지구 #정라지구 #도시재생박람회 #도시재생 #지속가능한도시 #도시의미래 #미래도시 #도시정책 #도시정책박람회 #도시정책공유 #도시기술 #스마트도시 #스마트시티 #스마트도시정책 #스마트기술 #도시산업 #혁신산업 #혁신기술 #혁신도시 #혁신정책 #도시문제해결 #도시문제 #지역활성화 #지역경제 #지역상생 #도시협력 #민관협력 #산학협력 #공공민간협력 #네트워킹 #도시네트워킹 #정책네트워킹 #비즈니스박람회 #도시비즈니스 #산업비즈니스 #기술비즈니스 #도시개발 #도시계획 #도시건축 #도시환경 #도시인프라 #생활SOC #도시데이터 #프롭테크 #프롭테크박람회 #부동산산업 #도시건설 #건설산업 #전문건설 #국토교통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시재생산업진흥협회 #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프롭테크포럼 #대한전문건설협회 #첨단기술안전점검협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도시혁신네트워크 #도시혁신사례 #도시혁신기술 #도시혁신정책 #도시혁신트렌드 #도시혁신정보 #국제도시박람회 #도시국제교류 #도시경쟁력 #도시브랜딩 #도시미래전략 #도시연구 #도시전문가 #도시산업혁신 #도시산업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