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민일보]춘천 도시재생 혁신지구 선정…원도심 활성화 기대

2025
브로슈어
프리미엄부스
안내서
비품
카달로그
Korea Urban·Regional Innovation Industry EXPO 2025
정보센터
정보센터
홍보자료

[강원도민일보]춘천 도시재생 혁신지구 선정…원도심 활성화 기대

박람회관리자 0 11

8714a1e2431e966a94aa8fa90ce2762a_1758070198_8556.png
춘천 캠프페이지 부지가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에 선정되면서 원도심 활성화에 대한 지역사회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캠프페이지 부지 영상산업 거점 육성 국토교통부는 제37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통해 ‘2025년 상반기 도시재생혁신지구’로 춘천시 근화동과 수원시 영화동, 천안시 성환읍을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춘천의 경우 캠프페이지 12만 7000㎡가 대상이다. 춘천시가 수립한 캠프페이지의 주된 활용 방안은 ‘VFX 산업을 중심으로 한 첨단영상산업’ 거점이다. 도시재생혁신지구에 첨단영상산업 클러스터를 조성, VFX(시각효과)를 비롯한 첨단영상산업 기업을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지역 안에서 관련 인력이 배출되도록 강원대와 VFX 관련 학과 신설도 논의 중이다. 이를 통해 춘천시는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청년 인구 유출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부지의 용도변경은 과제다. 국토부는 현재 자연녹지인 사업부지를 일반상업부지로 변경하는 ‘용도지역 변경’을 조건으로 춘천을 선정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춘천이 갖고 있는 잠재력과 가능성 등을 감안해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에 선정한 것”이라며 “올 하반기부터 예산교부 등의 절차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민선 8기 핵심 현안 중 하나였던 캠프페이지 도시재생 혁신지구가 탄력을 받게 되자 육동한 시장은 5일 오후 시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가졌다. 육 시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어려움 속에서도 묵묵히 버텨주신 소양·근화 주민 여러분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린다”며 원도심 주민들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2005년 반환된 캠프페이지는 그동안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이렇다 할 활용 방법을 찾지 못했다. 지난 민선 7기 춘천시정은 캠프페이지 일대에 시민 공원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구체적인 재원 조달 계획을 제시하지 못했다. 게다가 토양오염, 문화재 발굴 등의 현안이 이어지면서 여전히 52만㎡ 부지 대부분은 쓰임새를 찾지 못하고 있다. 육동한 시장은 “캠프페이지가 다시는 안갯속에 빠지지 않도록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8714a1e2431e966a94aa8fa90ce2762a_1758070244_4348.png
■강원도와 협의 과제 캠프페이지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강원도와의 협의도 과제가 됐다. 국토부가 조건부로 내걸은 용도지역 변경의 권한이 강원도에 있기 때문이다. 5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도는 “그동안 강원도, 춘천시의회 등에서 지적한 상위계획 변경 등 사전 절차 이행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며 “공원 해제를 조건으로 사업 시행이 가능하다는 어찌보면 당연한 결정이다. 강원도는 국토부의 이번 결정을 존중하며, 앞으로 캠프페이지 활용방안을 춘천시민과 함께 전략적인 비전을 가지고 풀어 나가겠다”고 했다. 강원도 관계자는 “조건부 승인을 받은 8곳 중 4곳이 조건 이행이 되지 않아 사실상 사업이 멈춰 있다”고 했다. 이날 브리핑 현장에서 육 시장은 사업이 정부의 승인을 받은 만큼, 강원도가 앞으로는 협력적인 태도로 나와줄 것이란 기대감을 보였다. 육 시장은 “강원도가 불필요한 논란을 내려놓고 적극적으로 협력하리라 믿는다”면서 “정부에서 현 사업을 인정한 만큼, 강원도도 도와주리라 확신한다. 그것이 도와 시가 함께 책임을 다하는 길”이라 말했다. 허영 국회의원도 입장을 통해 “이번 선정은 두 번의 도전을 거치며 춘천시민들과 소통하고 협의하며 이를 반영해 사업구상을 잘 준비해온 결과”라며 “앞으로 국가 1호 사업으로 추진되는 춘천역세권 사업과 함께 낙후된 춘천 원도심을 활성화하고 춘천시 균형 발전은 물론 양질의 일자리 창출까지 이루어낼 수 있도록 끝까지 챙기겠다”고 했다.


오세현·정민엽 기자


[출처] 강원도민일보-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2003742


#도시지역혁신 #도시지역혁신산업박람회 #2025도시지역혁신 #2025도시지역혁신산업박람회 #도시혁신 #지역혁신 #도시산업박람회 #대한민국도시박람회 #2025도시박람회 #대한민국도시산업박람회 #삼척도시박람회 #삼척박람회 #삼척정라지구 #정라지구 #도시재생박람회 #도시재생 #지속가능한도시 #도시의미래 #미래도시 #도시정책 #도시정책박람회 #도시정책공유 #도시기술 #스마트도시 #스마트시티 #스마트도시정책 #스마트기술 #도시산업 #혁신산업 #혁신기술 #혁신도시 #혁신정책 #도시문제해결 #도시문제 #지역활성화 #지역경제 #지역상생 #도시협력 #민관협력 #산학협력 #공공민간협력 #네트워킹 #도시네트워킹 #정책네트워킹 #비즈니스박람회 #도시비즈니스 #산업비즈니스 #기술비즈니스 #도시개발 #도시계획 #도시건축 #도시환경 #도시인프라 #생활SOC #도시데이터 #프롭테크 #프롭테크박람회 #부동산산업 #도시건설 #건설산업 #전문건설 #국토교통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시재생산업진흥협회 #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프롭테크포럼 #대한전문건설협회 #첨단기술안전점검협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도시혁신네트워크 #도시혁신사례 #도시혁신기술 #도시혁신정책 #도시혁신트렌드 #도시혁신정보 #국제도시박람회 #도시국제교류 #도시경쟁력 #도시브랜딩 #도시미래전략 #도시연구 #도시전문가 #도시산업혁신 #도시산업전시

제목